[Spring Boot Tutorial] 12. Spring Boot REST Api에 ResponseEntity 적용하기
지금까지 demo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ResponseBody의 result와 reason 값에 api 요청 결과를 출력했습니다. 그러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에는 응답결과를 body이외에 http 상태 코드와 header 를 설정하여 보다 세밀하게 response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ResponseEntity는 HtttHeaders headers와 T body, HttpStatus status를 포함한 클래스입니다 ResponseEntity를 이용하여 demo 프로젝트를 HTTP response 규약을 지키는 rest api로 만들어봅시다. 이론 1-1) HTTP 상태 코드 1-2) 전략 1-3) 기존 api (변경 전) 1-4) 새로 변경될 api 1단계 : Response 클래스 ..
2020. 4. 22. 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