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jiniworld

hello jiniworld

  • hello jiniworld (218)
    • Spring (58)
      • Basic (15)
      • Spring Docs (6)
      • Spring Data JPA Tutorial (14)
      • Spring Boot Tutorial (17)
      • Jersey (6)
    • Go (17)
    • Dev (10)
      • Clean Architecture (3)
      • System Design (2)
      • Documents (2)
      • Client (2)
    • Infrastructure (5)
      • Docker (1)
      • Kubernetes (4)
    • DB (19)
      • MySQL (8)
      • MariaDB (9)
      • Oracle (1)
    • Java (52)
      • Basic (14)
      • coding test (27)
      • Effective Java (11)
    • Python (7)
      • Flask (1)
      • Basic (3)
      • Effective Python (1)
      • coding test (2)
    • Front-end (3)
      • Vanilla JS (2)
      • Basic (1)
    • Linux (11)
      • Basic (2)
      • Command-line (9)
    • Web Server (6)
      • CentOS 7 (5)
      • Oracle Linux 8 (1)
    • WAS (3)
    • CentOS 7 (17)
      • Basic (9)
      • Jenkins (8)
    • Etc (10)
      • Windows 10 (3)
      • trash bin (3)
05-14 15:38
  • 전체보기
  • 방명록
  • jini's GitHub
  • demo api
  • chaeking api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hello jiniworld

컨텐츠 검색

태그

go Spring Boot codility Spring Boot Tutorial jenkins effectivejava Spring Java spring docs MySQL https hackerrank SpringBoot2 centos7 MariaDB Command-Line springboot Jersey JAX-RS week1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SSL 인증서 설정하기

아카이브

hello jiniworld(218)

  • [Codility - Java] 7. Stacks and Queues - 3. Nesting

    2023.01.02
  • [Codility - Java] 7. Stacks and Queues - 2. Fish

    2022.12.30
  • [Java] Functional Programming - 1. Java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개요와 Stream

    2022.12.08
  • [OOP] SOLID 원칙

    2022.12.05
  • [Java] record class Mocking 에러 해결하기

    2022.12.02
  • [Hexagonal Architecture] 2. Use Case 구현하기

    2022.11.18
[Codility - Java] 7. Stacks and Queues - 3. Nesting

Nesting A string S consisting of N characters is called properly nested if: S is empty; S has the form "(U)" where U is a properly nested string; S has the form "VW" where V and W are properly nested strings. For example, string "(()(())())" is properly nested but string "())" isn't. Write a function: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 } that, given a string S consisting of N c..

2023. 1. 2. 23:24
[Codility - Java] 7. Stacks and Queues - 2. Fish

Fish N voracious fish are moving along a river. Calculate how many fish are alive. You are given two non-empty arrays A and B consisting of N integers. Arrays A and B represent N voracious fish in a river, ordered downstream along the flow of the river. The fish are numbered from 0 to N − 1. If P and Q are two fish and P < Q, then fish P is initially upstream of fish Q. Initially, each fish has ..

2022. 12. 30. 20:35
[Java] Functional Programming - 1. Java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개요와 Stream

함수형 프로그래밍 람다식 함수형 인터페이스 Collection vs Stream 중간 연산, 종료 연산 filter, distinct sorted map flatMap peek 메서드 참조 static method 참조 인스턴스의 인스턴스 메서드 참조 생성자 new 참조 클래스의 인스턴스 메서드 참조 array를 Stream으로 변환하기 1. 함수형 프로그래밍 입력을 넣을 경우 동일한 결과값을 리턴하는 함수와 같은 특징을 갖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코드의 이해가 쉽고, 유지 보수 및 테스트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은 일급 함수, 순수 함수, 고차 함수라는 특징입니다. 1.1. 일급 함수 함수를 값으로 다룰 수 있는 성질로, 변수에 담을 수 있습니다. 함수를 다른 함수의 매..

2022. 12. 8. 02:51
[OOP] SOLID 원칙

S, SRP O, OCP L, LSP I, ISP D, DIP 1. 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책임만 갖는다 (= 클래스를 단 하나의 목표만 가지고 작성한다.) 높은 유지보수성 모듈 전반의 가시성을 제공한다 1.1. SRP 적용 예 1 특정 자원을 저장하는 기능과 조회하는 기능은 책임이 다릅니다. 저장에 관한 비즈니스 로직과 조회에 관한 비즈니스 로직을 서로 다른 클래스로 분리하여 하나의 클래스가 하나의 목표만을 가지도록 만듭니다. 저장에 관한 기능이 변경되었을 때에, 조회에 관한 서비스는 변경되지 않는다. 1.2. SRP 적용 예 2 계좌에 관한 도메인이 있을 때, 계좌에 관한 비즈니스 로직은 계좌 도메인 안에 작성하고, 계좌 ..

2022. 12. 5. 17:47
[Java] record class Mocking 에러 해결하기

record class로 작성된 Notice 객체를 모킹하려고 할때 public record NoticeDetail(long id, String title, String content, String createdAt) { } class GetNoticeServiceTest { private final LoadNoticePort loadNoticePort = Mockito.mock(LoadNoticePort.class); @Test void getNotice() { Notice notice = givenNoticeWithId(1L); System.out.println(notice); } private Notice givenNoticeWithId(Long id) { Notice notice = Mockito..

2022. 12. 2. 03:13
[Hexagonal Architecture] 2. Use Case 구현하기

헥사고날 아키텍처는 도메인 중심의 아키텍처로 적합합니다. 도메인 엔티티를 먼저 만들고, 그 후 유스케이스를 구현하는 순서로 진행합니다. 유스케이스의 동작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입력값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시스템을 동작하기 전에 비즈니스 규칙을 검증한 후 엔티티 모델을 조작하고 출력 결과값을 반환합니다 ※ 참고로 코드는 kotlin + webflux + coroutine 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 입력 유효성 검증 1.1. input model web adapter의 일부분으로, application - port - in 에 위치합니다. 모든 필드는 불변 필드로 지정하고 (final) 유효성 검증 설정하여 잘못된 값 입력시 익셉션 throw 시킵니다.(@NotNull, @Min 등) 입력값..

2022. 11. 18. 06:42
1 ··· 9 10 11 12 13 14 15 ··· 37
JINIWORLD
© jiniworld.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